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자발적 지능형공장을 구축... 대·중소 상생형 등 지능형공장 성과확산

코로나19에 신속히 대응해 진단키트, 마스크 대량 생산 지원 등 케이(K)방역 지능형공장 성공모델 제시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15일 2022년까지 3만개 보급을 목표로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을 지난해까지 약 2만개를 보급했다고 밝히면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20년도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스마트공장의 효과 입증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에 따른 수요 급증으로 당초 목표치(5천600개)를 초과한 7천139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다. 2020년까지 누적기준으로도 목표치(1만7천800개)를 상회한 1만9천799개를 보급해 중소기업 스마트제조의 저변을 크게 확대했다.
 
고도화율 증가, 고도화율은 25.5%(2019년 지원,2020년 구축)로서 2019년(17.9%)에 비해 증가됐다. 그 결과 2020년까지 누적 고도화 비율(중간 1 이상)은 22.1%로 나타났다.
 
전체 제조업 중 50인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2018년 98.1%) 하는 상황에서 투자 비용이 적은 기초수준 공장이 많이 보급되는 측면이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18.0%, 자동차 부품 10.1%, 금속가공 13.8%, 전자부품 6.1% 등 주요 업종 중심으로 보급됐다.
 
특히 ‘20년도에는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공통 솔루션을 보급하는 업종별 스마트공장 지원을 신설해 식품·의약품·뿌리·금형 등 10개 업종을 특화 지원했다.
 
스마트공장 7,139개 중 대·중소 상생형과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등 민간 중심의 보급이 2,409개로 ‘19년(1,937개)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하는 대기업 등이 ’19년도 10개에서 ‘20년도에는 18개로 대폭 증가했으며, 민간이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 후 스마트공장 수준 확인을 받은 기업 역시 증가 했다.
 
이와 관련해 중기부는 향후 정부 중심의 보급보다는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인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다.
 
케이(K)-방역,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방역물품 수요 급증에 따라 민·관이 협력해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신속히 지원해 대량 생산체제 전환 등 케이(K)-방역의 성공모델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해 지금까지 1천409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바 있는데, 특히 코로나19 여파에서 제조혁신 전문가(20여명)를 현장에 파견해 자재관리, 물류동선 최적화에서부터 포장 공정개선, 자동화설비 도입 등을 지원하여 단기간내 진단키트, 마스크 등 핵심 방역물품의 대량 생산을 도왔다.
 
케이(K)-방역의 신뢰성과 생산성 향상은 국내기업의 해외 수출 증대 뿐만 아니라 방역 모범국가로서의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
 
아울러, 중기부는 추진방향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사업체계를 개편하고 이에 대한 보급사업 지원계획을 올 1월말에 공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